지난 11월 16일 홍동중학교 해누리관에서 <의료생협,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제목으로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조합원 교육모임을 가졌습니다. 학교생협과 함께 준비한 협동조합 연속강좌 <협동을 말하고, 조합을 듣는다>중에 두 번째 시간이었고요, 최문철 사무국장은 우리마을의료생협의 지난 활동을, 한국의료사협연합회 우세옥 교육센터장은 다른 지역 의료생협의 사례들을 공유하였습니다. 조합원들이 소그룹으로 모여 청소년/여성/장애인/노인의 필요와 제안을 이야기하고 발표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동, 청소년> 연령 특성상, 병원 이용율이 낮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청소년 자세모임과 같은 소규모 건강동아리활동이 있으면 좋겠다. 우울이나 자해처럼 정신과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정기적인 전문의상담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여성> 산부인과 검진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고 정보가 부족하다. 여성의 생애주기별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10대를 위한 생리컵 사용법 / 2,30대 위한 산부인과 교육 / 갱년기 여성을 위한 소모임이 필요하다. 

<노인> 어르신들이 평생 살아오신 마을에서 노후를 잘 보내실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한다. 치매나 중증질환을 가지고 계신 어르신들을 위해 주간보호시설 등이 필요하고, 어르신들의 문제에 어르신들이 직접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하자.

<장애인>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돌봄과 지원이 부족하다. 현재 급여를 받으며 일할 수 있는 기회도, 장기근속 여건도 여의치 않다. 의료생협과 지역공동체에서 장애인의 정서적 사회적 돌봄에 대해 고민했으면 좋겠다. 장애인 가족이 부담하는 돌봄의 무게가 크다.

<그밖에> 암환우 모임도 시작하면 좋겠다는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내용을 살펴주세요.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조합원 교육모임

의료생협, 그것이 알고 싶다!

11월 16일(금) 오후 7시 홍동중학교 해누리관


✓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_최문철(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사무국장)


✓ 다른 의료생협들은 요즘 무엇을 고민하나?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_우세옥(한국의료사협연합회 교육센터장)


✓ 홍성우리마을의료생협 조합원의 전지적참여시점!

_나와 의료생협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앞으로도 조합원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습니다. 12월 임직원연수와 이사회에서 위 내용을 공유하고, 의료생협이 구체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일을 살펴서 내년 조합 사업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조합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일들은 지역의 다른 손길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풀어나가겠습니다. 


우리동네 청소년/여성/장애인/노인의 필요와 제안을 정리해서 발표한 내용을 아래에 기록해둡니다. 







우리동네 <아동, 청소년>의 아쉬움과 제안

* 육아에서 자연, 생활요법에 대한 교육이 있으면 좋겠다.

연령 특성상, 병원 이용율이 낮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이 따로 필요하다.  

* 면생리대등 10대 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이 필요하고,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있다면 지역과 연결해 주면 좋겠다. 

* 중학생 자세모임(척추측만등)이 있으면 좋겠다. 

* 특별히 뭘 하지 않아도 되면서, 물리치료받기 / 체질량 체크 등을 체험하는 청소년의 건강동아리가 필요합니다.

* 우울, 자해 등 정신과 상담이 필요한 경우 주1회나 월 1회 정기적인 전문의 상담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 청소년이 지역에서 봉사 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주면 좋겠다. 관계를 쌓아 갈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동네 <여성>의 아쉬움과 제안

* 산부인과 검진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고 정보가 부족하다.

* 여성 산부인과 의사가 있으면 좋겠다.

* 여성 주기별 교육이 필요하다.

 - 10대를 위한 생리컵 사용법

 - 2,30대 위한 산부인과 교육

 - 갱년기 여성을 위한 소모임

* 여성 전문의의 정기적인 교육이 있으면 좋겠다. 살림의원 선생님이 외부 강의하는 날이 있다고 하는데, 문의를 해 봅시다.

* 의원에 게시판을 설치해서 받고 싶은 교육을 신청받자.



우리동네 <노인>의 아쉬움과 제안

* 어르신들이 평생 살아오신 마을에서 노후를 잘 보내실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한다

* 치매나 중증질환을 가지고 계신 어르신들은 경로당에 가시는 게 어렵다. 케어가 가능한 시설, 예를 들어 주간보호시설 등이 필요하다

* 어르신들이 집에서 자연사 하실 수 있어야 한다(동네의원에서 사망증명 등을 법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가능하답니다)

* 어르신들의 문제에 어르신들이 직접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하자.



우리동네 <장애인>의 아쉬움과 제안

* 장애인이 자립생활를 지원하는 돌봄과 지원이 부족하다. 

장애인 고용촉진법이든 지원이든, 취업이 된 후에도 교통, 사업장 시설, 업무시스템이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곳이 별로 없다. 비장애인보다 일을 하는데 더딜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이해를 받기가 쉽지 않다. 결국 장기적으로 같은 회사를 다니기 어렵고, 지원이 끝나거나, 회사가 어려워지면(수익성, 효율성을 따지게 되는 순간) 1순위로 장애인이 해고를 권유받고 해고되는 실정이다. (물론 장애인과 그 회사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홍동을 포함, 홍성에서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곳이 별로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이 없는 상태에서 지역공동체가 장애인을 안을 수 있는 방법이 고민된다.  

* 장애인에게도 사회적 관계가 필요하고 정서적, 문화적 요구가 있다. 

학교, 정규 과정이 끝나면 장애인은 대부분 또 다른 시설이나 가정으로 묶이게 된다. 최근 장애인에 대한 시설이나 교통이 많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또래 친구들과의 영화나 스포츠 등을 즐기기 위한 친근한 관계에 대한 간절함이 있는데 이를 받쳐줄 사회적 인식이나 제반시설이 부족하다. 의료생협과 지역공동체에서 장애인의 정서적 사회적 돌봄에 대해 고민했으면 좋겠다. 

* 장애인 가족이 부담하는 돌봄의 무게가 크다.

영국은 장애인 가족에 대한 바우처 제도가 있는데, 장애인 가족을 돌보는데 지친 가족에게 휴가를 주고(개인적 시간이 필요할 때도) 대체 돌봄을 제공한다. 평생 장애인을 돌보는 가족들도 돌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역, 혹은 공동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 의료생협이 진행하는 장애인주치의제도가 잘 시행되어 의료서비스와 건강 돌봄이 부족한 지역 장애인들에게 도움이 되고 함께 더불어 살기위한 지역공동체의 장애인관련 체계적인 지원 및 돌봄을 고민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