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극복의 날’인 지난 9월 21일부터 9주 동안, 월요일마다 의료조합 밴드와 블로그를 통해 치매를 이야기하는 영상을 공유합니다. 온라인 치매 세미나를 통해, 치매라는 질환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치매와 관련한 자원들, 정책이나 서비스들을 조금 더 잘 알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나아가서는, 나고 자란 곳에서 어르신들이 좀 더 오래 지내실 수 있도록 보호자와 이웃, 지역이 함께 돌볼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온라인 치매 연속세미나 과정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_9월 21일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9월 28일(예정)
2. 치매를 진단하고 인지할 수 있는 방법
3. 치매약이 있다던데?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9 21)치매극복의날입니다.

 

2019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치매인구는 75만명이며, 65 이상 노인 10명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치매 유병률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치매를 치료할 있는 확실한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2019 11 방영된 KBS 다큐인사이트, ‘부드러운혁명에서는 치매어르신을 돌보고 대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합니다. 치매어르신의 세계를 이해하여 공격적인 행동이나 이상행동을 줄이고 인간다운 케어를 있는휴머니티드케어라는 기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휴머니티드케어 크게 4가지 기술로 나뉩니다. 1. 치매어르신과 같은 눈높이에서 시선을 맞추는 2.친절하고 명확하게 말하는 3.부드럽게 어루만지며 교감하는 4. 누워있는 환자를 일으켜 세우는 . 기법을 통해 환자를 사람으로서 제대로 마주하고 교감할 있다고 소개합니다. 일본, 미국, 캐나다 등을 비롯한 여러 노인돌봄 선진국에서 실제 효과를 체감하고 여러 시설에서 도입하고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치매를 앓게 되면 신체기능저하는 물론이고, 시선이 좁아지고, 단기기억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그로인한 불안감이 커지는 등의 여러 가지 변화가 생깁니다. 이런 치매의 특성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치매어르신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배울 있다면 치매케어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KBS 다큐인사이트, ‘부드러운혁명’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n9SCCOjkTJ4

KBS 다큐인사이트, ‘부드러운혁명’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Msf4eRKSxuA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치매 극복의날 맞이,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1강_치매에 대한 이해와 증상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Dsf4EnxFEw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첫 번째 날입니다. 지난 공지에 말씀드렸던 대로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온라인 치매 연속세미나 과정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_9월 21일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9월 28일
2. 치매를 진단하고 인지할 수 있는 방법 _10월 05일(예정)
3. 치매약이 있다던데?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치매 극복의날 맞이,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2강_치매의 종류와 진단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youtu.be/1KU6Cigb_NM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두 번째 시간입니다.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영상 타임라인

0:58 ~ 2:39 _ 치매의종류
2:40 ~ 3:46 _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
3:47 ~ 6:32 _ 치매진단검사는 언제 해야하나요?
6:33 ~ 8:09 _ 치매로 진단받고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8:10 ~ _ 치매의 진단과 관리를 대형병원에서 받는게 좋나요?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_9월 21일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9월 28일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10월 06일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10월 12일 예정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3. 치매약이 있다던데?

치매 극복의날 맞이,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3강 _ 치매약이 있다던데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https://youtu.be/kWehu6g20JA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세번째 시간입니다.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_9월 21일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9월 28일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10월 6일
3. 치매약이 있다던데?_10월 12일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_10월 19일 예정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4강 _ 치매의 예방과 원인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https://youtu.be/Ts5KyFFtYTs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네 번째 시간입니다.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영상 타임라인
01:23 ~ 03:58 _ 치매 예방을 위해서 노력해야할 것
03:59 ~ 07:17 _ 치매를 악화시키는 것들
07:18 ~ 09:21 _ 치매약이 예방에 효과가 있나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0. 치매를 이야기해볼까요? _9월 21일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9월 28일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10월 6일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10월 12일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10월 19일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10월 26일 예정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5강 _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https://youtu.be/CwlQdP_NRp4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영상 타임라인
00:41 ~ 03:54 _ 치매어르신의 돌봄을 위해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것
03:55 ~ 06:40 _ 치매인 가족이 알아야 할 적절한 대처방법(돌봄방법)
06:41 ~ 12:04 _ 공격적이고 위험한 치매증상 대처하는 방법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 2020.09.28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2020.10.06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 2020.10.12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 2020.10.19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 2020.10.26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 _ 2020.11.02 예정
7.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8.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6. 치매경과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6강
치매경과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
https://youtu.be/iVUv5KnqvBw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8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 2020.09.28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2020.10.06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 2020.10.12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 2020.10.19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 2020.10.26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 _ 2020.11.02

7.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 _ 2020.11.09 예정
8.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
9.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7. 치매경과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7강
치매경과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
https://youtu.be/my7r54iLUww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일곱 번째 시간입니다. 9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 2020.09.28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2020.10.06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 2020.10.12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 2020.10.19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 2020.10.26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 _ 2020.11.02

7.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 _ 2020.11.09
8.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_2020.11.17 예정
9.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8. 이용가능한 치매관련 정책과 서비스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8강_'치매관련 서비스와 정책들'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https://youtu.be/C6Vngb5W3DU

-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여덟 번째 시간입니다. 9주간, 매주 월요일에, 조합원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은 치매관련 내용을 녹화한 영상을 업데이트 합니다.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치매에 대해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들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 2020.09.28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2020.10.06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 2020.10.12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 2020.10.19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 2020.10.26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_2020.11.02
7.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_2020.11.09
8.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_2020.11.17
9.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_2020.11.24 예정

 


9.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_제 9강_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 영상 시청 시, 오른쪽 하단에 톱니바퀴모양을 누르셔서 1080p화질로 바꿔 시청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youtu.be/Tp21EqkiErU

 

9주 동안 치매연속세미나에 관심가져주시고 함께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한 주 한 주 자료가 쌓여서 여러 내용들을 다루게 되었는데요, 치매와 관련해서 필요하시거나 궁금하실때마다 꺼내보시고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2020 온라인 치매연속세미나 과정 안내
1. 치매란?(치매에 대한 이해, 증상) _ 2020.09.28
2. 치매의 종류와 진단 _ 2020.10.06
3. 치매약이 있다던데? _ 2020.10.12
4. 치매의 발병 원인과 예방 _ 2020.10.19
5. 치매인 가족의 대처방법 _ 2020.10.26
6.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1_2020.11.02
7. 치매경과(초기,중기이후)에 따른 시설자원들의 형태와 이용비용 part2_2020.11.09
8. 이용 가능한 치매 관련 정책과 서비스_2020.11.17
9. 치매케어의 여러가지 방식(선진사례 등)_2020.11.24

2020년 상반기 후원, 증좌를 해주신 분들에게 소식지를 만들어 보냈습니다. 조합원님들에게도 내용을 공유합니다.

2020년 상반기에 의료조합과 동네의원이 어떤 일들을 했는지 사진으로 살펴주시고, 궁금하거나 보태주실 이야기가 있으시면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소식지상에 미처 싣지 못한 활동이나 내용들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조합의 여러 행사들에 참여하시면서 좋은 사진을 찍으셨다거나, 관련해서 의견이나 소감을 이야기하고 싶으신분들은 적극 공유를 부탁드립니다.

항상 조합과 동네의원에 관심가져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올 하반기에도 변함없는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 홍성우리마을의료조합의 후원자가 되시면 서면으로 된 소식지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QR 코드를 통해 CMS 후원자가 되어주실수도 있고, 조합에 직접 방문해서 후원서류를 작성해주실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hoonoon.tistory.com/127 를 참고해주시면 좋습니다.

의료조합과 조합원에게 이로운 돌봄 관련 자료를 지속적으로 모으고 공유합니다.

아래 내용중에 링크 타고 건너가시면 자료를 확인하실 있습니다.

+ 조합과 이웃들에게 공유하고 싶은 좋은 자료가 있으시면, 의료조합 사무국에 알려주세요~


치매

  • 의사와 간호사가 운영하는 치매 관련 유투브채널 치매 똑똑►
 

치매 똑똑

치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의사와 간호사가 직접 알려주는 국내최초 치매 전문 유튜브 채널입니다. 채널 관련 문의는 mina@hellohi.net 으로 주세요 :)

www.youtube.com

 


발달장애

 

The Special

아는만큼 이해할 수 있고, 이해하는 만큼 함께하기도 수월해 집니다. 중증 발달장애... Read more

thespecial.kr

 

거북이의 꿈

거북이의 꿈은 발달장애지원전문가포럼이 만드는 발달장애 전문 오디오 방송입니다. 발달장애지원전문가포럼은 뜻있는 발달장애 가족과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만든 순수 민간단체입니다. 팟��

www.podbbang.com

 


공유주거

해당페이지로 건너가시면 관련 PDF파일을 다운받으실 있습니다.

  • 2015 LG Global Challenger 21기 “도란도란” 독거노인을 위한 행복한 공유주거, ‘시니어 콜렉티브 하우징’  바로가기► 
  • 2019-11 충남 독거노인 공동생활홈 운영 개선방안/맹준호 바로가기► 

 

 

 

 

 

 


돌봄관련 정책

  • 지역사회 통합돌봄 자체 추진 지침서(가이드북) _보건복지부, 2020년 7월 발행 보건복지부►
 

알림 > 보도자료 내용보기 " 지역사회 통합돌봄 자체 추진 지자체에 길잡이 제공 " | 힘이 되는 평

보도자료 지역사회 통합돌봄 자체 추진 지자체에 길잡이 제공 등록일 : 2020-07-27[최종수정일 : 2020-07-27] 조회수 : 1936 담당자 : 박문수 담당부서 : 복지정책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자체 추진 지자체�

www.mohw.go.kr

 


요양시설 보고서

  •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한겨레 기획기사, 2019년 [창간기획]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2019년 3월 현재 15만6435명이 요양원을, 41만930명이 방문 요양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요양원은 이름처럼 노인들이 편하게 생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일까? 국가가 자격증을 주는 요양보호사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창간기획]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2019년 3월 현재 15만6435명이 요양원을, 41만930명이 방문 요양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요양원은 이름처럼 노인들이 편하게 생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일까? 국가가 자격증을 주는 요양보호사들은

www.hani.co.kr

 

 


* 홍성우리마을의료조합의 돌봄아카이빙
홍성우리마을의료조합은 조합원 밴드와 의료조합 블로그를 통해 수시로 돌봄관련 자료를 공유하고,
자료들을 한 눈에 살펴서 이동하실 수 있게 (지금 보시는) 돌봄아카이빙 페이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조합과 이웃들에게 공유하고 싶은 좋은 자료가 있으시면, 의료조합 사무국에 알려주세요~
+ 모아진 자료는 의료조합의 돌봄 공간과 활동, 관계를 설계하고 촉진하는데 적극 활용하겠습니다.

홍성우리마을의료조합 돌봄공간 열린모임에 조합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의료조합은 점점 더 늘어가는 돌봄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우리동네의원을 운영하는 것과 더불어 새로운 돌봄 공간과 활동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지난 해 8월 열린모임에서 나누었던, "우리가 원하는 노인 돌봄은 어떤 모습일까요"라는 질문에 이어, 올 해는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가 원하는 돌봄공간"은 어떤 모습인지 이야기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의료조합의 주인은 조합원 여러분입니다. 나를 위한 돌봄 공간, 우리에게 필요한 돌봄 공간, 의료조합이 잘 만들 수 있는 돌봄공간, 그중에서도 우선적으로 노인을 위한 돌봄공간을 설계하고 만드는 과정에 적극 동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때문에 많은 사람이 모여서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모임 전에 온라인을 통해 최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모으려고 합니다. 직접 모임에 오시면 제일 좋고요, 미리 아래 세가지 이야기들을 자세하게 살펴주시고 의견을 보내주세요~ 직접 못오시더라도, 온라인으로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몸에 열이 많이 나거나 아프시면 집에서 쉬시기를 부탁드리고요, 마스크 착용도 부탁드립니다. 거리를 두고 앉으실 수 있도록 자리가 넓은 홍동중학교 해누리관에서 만나겠습니다. 

 

  7월 30일 열린모임 주요 일정
  1) 경과보고: 금평리485답을 마련한 과정 / 의료조합 돌봄사업의 방향 / 2019년 열린모임 돌아보기
  2) 의견수렴: 우리가 원하는 돌봄공간은 어떤 모습일까요? / 돌봄공간에 어떤 요소들이 있으면 좋을까요?
  3) 참여요청: 마을복지공부모임과 마을복지위원회 소개 / 공간 설계과정에 참여할 조합원 모집안내

 

 

1. 금평리485답의 현황과 돌봄공간 추진계획

[금평리 485] 우리동네의원과 금평리 상하중 마을회관 맞은편에 있으며면적은 2,752(832)입니다조합은 금평리485답과 관련하여 올 한 해동안 1) 조합원의 지혜를 모아 공간을 기획하고, 2) 조합원의 힘을 모아 농사를 짓고, 3) 조합원의 돈을 모아 남은 대출금을 갚아나가려고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실 수 있도록 정리해두었습니다. https://hoonoon.tistory.com/131

 

 

2. 2019 열린모임 정리) "우리가 원하는 노인 돌봄은 어떤 모습일까요"

지난해 8월,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통해 '노인돌봄의 현실' 살펴보았고, 대안이  만한 대구 파티마 홈과 일본 미나미의료생협 그룹홈 나모의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어서 각자가 원하는 / 원하지 않는 노인돌봄의 모습을 한데 모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당시 나눈 이야기를 정리해두었습니다. https://hoonoon.tistory.com/136

 

열린모임 정리) 우리가 원하는 노인 돌봄은 어떤 모습일까요?

지난해 2019년 8월 6일, 밝맑도서관에 모여 노인돌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지요. 1년전 이야기지만, 논의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 자료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요양보고서>를 통해 '노

hoonoon.tistory.com

 

 

3. 2020 열린모임 설문지) "내가 원하는 돌봄공간의 모습은?"

조합원 여러분의 의견을 최대한 많이 모으고자 설문을 진행합니다. 다양한 의견과 제안질문을 보태주세요. 온라인 설문에 응해주셔도 좋고, 우리동네의원에 오셨을  의견을 말씀해주셔도 좋습니다. 7월 30일 열린모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 이야기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미리 보내주신 의견은 열린 모임에서 공유하겠습니다.  https://forms.gle/Wfn4uCn3vQNYS9jx8

 

우리가 원하는 돌봄공간의 모습은?

내가 원하는 돌봄공간, 우리에게 필요한 돌봄 공간, 의료조합이 잘 만들 수 있는 돌봄공간은 어떤 모습일까요? 조합원 여러분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보태주세요! 보태주신 내용은 7월 30일 저녁 7�

docs.google.com

 

지난해 2019 8 6, 밝맑도서관에 모여 노인돌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지요. 1년전 이야기지만, 논의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 자료를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통해 '노인돌봄의 현실' 살펴보았고, 대안이 만한 대구 파티마 홈과 일본 미나미의료생협 그룹홈 나모의 사례를 살펴보았고, 각자가 원하는 / 원하지 않는 노인돌봄의 모습을 한데 모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당시에 적어주인 이야기들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원하는 노인돌봄의 모습은)

노후부터 죽음까지 고독하지 않기를 바라. 죽음을 준비할 여유가 필요하고, 죽음조차도 존중을 받았으면 좋겠어. 몫을 있을 요양원에 가도 . 기여를 수도 있어. 서로를 돌보는 노노케어. 외지로 나가지 않고, 살던 마을에서 계속 살고 싶고, 지내던 일상이 지속되었으면 좋겠어. 가족/친구/이웃과 여전히 연결되고 싶고, 젊은이들과 연결되고 싶고, 자연과 연결되어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싶다. 공동생활/탈시설/그룹홈/소규모/11 최고. 꿈뜰같은 돌봄농장. 주체적이고, 능동적일 있는, 취미와 예술을 즐길 있는, 다양성을 맞출 있는 모습을 원해.

 

내가 원하지 않는 노인돌봄의 모습은)

경쟁/생산성/효율을 따지느라 노인이 돈벌이 수단이 되어버린 시설. 대형화와 다인실. 주체로 존중받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도움을 받기만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어. 과보호도 싫고, 대상화되고 싶지 않아. 사회적으로 배재되어 고립되고, 나이 먹어서 아니야라며 스스로 고립하고. 노인끼리도 치매, 장애가 있다고 소외시키지 말았으면. 묶여서 지내고 싶지 않아.

 

자세한 각각의 내용을 아래에 덧붙입니다(내용이 많습니다)

내가 원하는 노인 돌봄의 모습은? 내가 원하지 않는 노인 돌봄의 모습은?
소규모
행동이 자유로운
인권이 보장되는
버림받은 느낌
무기력함,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
지금까지 나는 요양원에 대해서 
1. 언젠가는 내가 가야할 곳이고,
2. 부부가 같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같이 사는게 좋고, 혼자되서 심신이 자력으로 활동하기 힘든 때 가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늘 다시 생각하니 요양시설에 갈 때는 어딘가 남을 위해 내 몫을 할 수 있을 때 가서, 같이 살며 늙어가고 죽음까지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든다. 조금이라도 활동력 있을 때 봉사를 하면서 가까워져서 요양원에 들어가는 것이 좋겠다. 물론 요양원 운영에 있어서는 많은 사례와 운영지식을 모아 최적의 장소가 되어야 하겠지요.
운영자의 이익을 우선하는 요양원은 좀 아니다
나의 의사(의지)가 최우선으로 존중되는 곳 (퇴소, 의료중단 등)
나의 인권이 존중되는 곳
눈치를 보게 되는
막막하고 절망적인 기분이 드는 곳
인생의 경험과 생각을 누군가에게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다. 세상/사람들과 단절되는 건 싫다
돌보는 사람들이 나를 '대상'으로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요양시설에 입소하기 전에, 충분히 긴시간을 가지고 스스로의 죽음을 기획해 가는 '스스로 돌봄'의 과정이 선행되었으면 좋겠다.
존엄성이 지켜지는 돌봄!
"자활노동" 없는 돌봄
내가 살던 곳에서, 마을에서, 마을 가까운 곳에서 하던 일을 계속하면서 예술활동을 하면서 늙어가고 죽고싶다.
내가 먹을 것 농사지으면서
나의 의사가 무시되는 일방적인 방식
일상과 괴리되지 않는 삶,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 > 그런 삶을 돕는 것 일방적 시혜의 대상이 되는 것. 수동적이고 자기 의지와 무관하게 결정되는 삶.
내가 살던 곳에서 내가 아는 사람들(친구들)과 여생을 보내고 싶다.
미나미의료생협(그룹홈 나모)이나 파티마홈 같은 곳으로 가고 싶다.
우선 우리가 실행할 수 있는 것부터 접근해서 낮동안만이라도 즐겁고 편안한 시설, 심심하면 할 수 있는 게 주어지는 곳, 힘이 있는 사람이 어려운 이웃을 서로 돌봐주는 구조.
요양원의 모습도 시설로 돈버는 수단이 아닌 적자가 나면 후원회로 운영한다는 각오로 운영할 수 있는 시설
65세 이상에 지급되는 기초생활연금을 내 노후 어려울 때 생각해서 열심히 후원하는 분위기 조성했으면 좋겠다.
노인이 돈벌이 수단으로 운영되는 시설
본인이 살던 마을이 유지되고,
마을의 주민들의 관계가 유지되고
본인이 살던 집에서 돌아가시는 것. 이를 위한 커뮤니티케어 Community Care.
마을단위에서 케어를 복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고민하고,
지역에서 가능하도록 서로를 지원하는 것을 먼저 고민하자.
나의 취미생활을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다. 취미생활은 텃밭과 원예활동이므로 그런 활동이 가능한 곳이길 원함
옆에서 돌봄을 지원해주는 분은 관계를 지속할 수 있었으면 함
생명연장만을 위한 요양보호는 사절!!
1인 1실 생활
동네 안에서 생활(동네안에 있는 작은 그룹홈에서 내 옆에 이웃집 사람이 누워있고, 아침에 인사를 하는 사람이 동네사람이나 가족 중 누구였으면 좋겠다
학교나 유치원 가까운 곳에 위치한 그룹홈
소규모, 다양화
가만히 있어 다 내가 해줄게~
나에게 물어보지 않고 상대방이 해주고 싶은 것을 나에게 해주면서 은근히 내가 좋아해주길 또는 고맙다는 말을 해주길 바라는...
대형화, 시설화
지역에서 커뮤니티케어 돌봄(나의 살던 삶의 친구, 자원, ~)
어르신들의 자존감을 지켜주는 돌봄제공
(나도 언젠가 갈 것이다는) 교육을 받은 보호자들, 노인돌봄의 상호관계적인 책임.
요양원에 입소한 후 본인부담금의 문제로 퇴소하는 경우가 왕왕있다. 시립/군립/국립 등 책임있는 요양시설이 늘어나야 한다. 국가가 전적인 (비용부분 등에 대한 상당부분) 책임을 지원하는 돌봄. 사회적인 부분의 책임은 국가가 져야 근본적인 해결이 될 것이다
내각 살던 곳에서, 가까운 곳에서
내가 내 생활의 결정권이 있는 돌봄
마을의 관심과 애도속에서, 면단위, 의미있는 기관 죽을 수 없게하는 돌봄
낙상이 두렵다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사고가 두려워서 나가서 배회하지 못하게 하고,
폐렴, 감기 걸릴까봐 바깥바람 못 쐬게 하고,
목에 걸려 숨막힐 까봐 입으로 먹지 못하게 하고, 대신 콧줄을 끼우고.
죽음이 두려워서 뭘 못하게 하기보다, 뭘 하다가 죽고싶다.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이야기 나눌 사람이 있었으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느끼고 싶다
묶여 있고 싶지 않다.
일상이 갑자기 변하지 않고, 삶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노년
이웃의 돌봄을 받고, 내가 살아온 환경에서 변함없는 삶을 살고 싶다.
두려움 없이 편안하게.
버림받았다는 기분이 들지 않도록 하는 공간이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었으면 한다.
돌봄을 받는 노인들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는 돌봄
가족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돌봄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주체가 되는 돌봄
경제적관점에서만 노인을 바라보고 관리하는 돌봄
가족들에게 버림받는 돌봄
자유와 인권이 사라진 돌봄

의견과 아이디어를 보태고 싶으시면 언제든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알려주세요.

+ 우리가 원하는 돌봄공간의 모습은? 내가 원하는 노인돌봄의 모습은?(온라인설문지)▶︎ https://forms.gle/Wfn4uCn3vQNYS9jx8

이미 나온 내용이어도 좋습니다. 노인돌봄공간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였으니, 공간에 대한 온갖 아이디어를 보태주세요~ 적어주신 내용을 모아서 다시 한번 공유하겠습니다.

 

 

** 2019 모임을 준비하면서 도움을 받은 <대한민국 요양보고서> 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살펴보실 있습니다.

https://band.us/band/73907987/post/139

https://band.us/band/73907987/post/150

 

** 2019 모임을 준비하는 과정은 다음 링크에서 살펴보실 있습니다.

https://band.us/band/73907987/post/152

 

** 2019 8 6, 모임의 모습도 기록으로 남깁니다.

2019년 포스터입니다. 
조모세 사회복지사가 대구 파티마홈 사례를, 최문철 사무국장이 일본 미나미의료생협 나모의 사례를 이야기했습니다.
조합원과 지역주민분들이 오셔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우리동네의원 이훈호 원장님은 이야기를 하는 중일까요? 듣는 중일까요?

 

홍성우리마을의료조합 채승병 이사장님의 이야기

 

+ Recent posts